평소 우리나라 전통 공예에 대한 관심이 깊었고, 각 분야의 장인에게 전통 공예 기술을 습득하여 전통을 재해석한 장신구를 제작해왔다. 금속공예, ‘규방공예’라고 불리는 한국 전통 바느질 기법을 기반으로 한 섬유작업, 전통 매듭, 자연 염색, 완초공예, 한지공예에 이르기까지 여러 재료들의 물성과 공예기법을 탐험하고 시도하며 작업하던 중 한지와 지승공예를 만나게 되었다. 한지는 한국의 고유한 제조법으로 만들어진 종이로 닥나무 껍질로 만들어졌다. 한지는 통풍이 잘되고, 질기며 보존력이 우수하다. 또한 홑줄과 겹줄로 엮어 입체물로 만들게 되면 물에 젖어도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정도로 뛰어난 내구성을 지니며 무엇보다도 가볍다. 이러한 한지의 특성은 무게의 제약 없이 주얼리의 부피감을 자유롭게 표현하기에 매우 적합한 소재로 나에게 다가왔고, 나의 창조작업에 엄청난 자유를 주었다.
나의 주얼리는 한지를 주재료로 하여 한국의 전통공예기법인 지승공예를 활용하여 제작되었다. '지승'은 한지를 길게 잘라서 새끼를 꼬아놓은 것을 이르는 말이다. 그리고, '지승공예'란 한지를 가늘고 길게 잘라서 손끝으로 비벼 끈을 만들어 다양한 기물을 만드는 기법을 이르며 순수한 우리말로 '노엮개'라고도 불린다. 지승 공예는 종이가 귀했던 시절, 조선시대 선비들이 공부를 마친 책의 종이를 재단하고 꼬아 엮어서 다양한 기물을 만든 데서 유래하였다. 물자가 귀했던 시절, 종이로 만든 공예품들은 당시 상류층의 고급스런 생활소품으로 사용되었다. 이렇게 특별한 예술작품들이 박물관 안에서 유물로 박제되어 있는 것이 매우 안타깝게 느껴졌고, 주얼리로 새 생명을 불어넣어 일상 속으로 끌어오고 싶었다. 그리고, 이러한 열망은 자연스럽게 지승 주얼리 제작으로 이어졌고, 주로 전통공예품으로 제작되어온 지승공예 기법을 장신구 영역으로 확장하여 기존의 정형화된 틀을 깨고 한지와 지승공예의 새로운 표현방식을 제시하고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