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ement



Korean Paper Jewelry

지승 장신구


  "러한 한지의 특성은 무게의 제약없이 주얼리의 부피감을 자유롭게 표현하기에 매우 적절한 소재로 나에게 다가왔다."


평소 우리나라 전통 공예에 대한 관심이 깊었고, 각 분야의 장인에게 전통 공예 기술을 습득하여 전통을 재해석한 장신구를 제작해왔다. 금속공예, ‘규방공예’라고 불리는 한국 전통 바느질 기법을 기반으로 한 섬유작업, 전통 매듭, 자연 염색, 완초공예, 한지공예에 이르기까지 여러 재료들의 물성과 공예기법을 탐험하고 시도하며 작업하던 중 한지와 지승공예를 만나게 되었다.

한지는 한국의 고유한 제조법으로 만들어진 종이로 닥나무 껍질로 만들어졌다. 한지는 통풍이 잘되고, 질기며 보존력이 우수하다. 또한 홑줄과 겹줄로 엮어 입체물로 만들게 되면 물에 젖어도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정도로 뛰어난 내구성을 지니며 무엇보다도 가볍다. 이러한 한지의 특성은 무게의 제약 없이 주얼리의 부피감을 자유롭게 표현하기에 매우 적합한 소재로 나에게 다가왔고, 나의 창조작업에 엄청난 자유를 주었다.

나의 주얼리는 한지를 주재료로 하여 한국의 전통공예기법인 지승공예를 활용하여 제작되었다. '지승'은 한지를 길게 잘라서 새끼를 꼬아놓은 것을 이르는 말이다. 그리고, '지승공예'란 한지를 가늘고 길게 잘라서 손끝으로 비벼 끈을 만들어 다양한 기물을 만드는 기법을 이르며 순수한 우리말로 '노엮개'라고도 불린다. 지승 공예는 종이가 귀했던 시절, 조선시대 선비들이 공부를 마친 책의 종이를 재단하고 꼬아 엮어서 다양한 기물을 만든 데서 유래하였다. 물자가 귀했던 시절, 종이로 만든 공예품들은 당시 상류층의 고급스런 생활소품으로 사용되었다. 이렇게 특별한 예술작품들이 박물관 안에서 유물로 박제되어 있는 것이 매우 안타깝게 느껴졌고, 주얼리로 새 생명을 불어넣어 일상 속으로 끌어오고 싶었다. 그리고, 이러한 열망은 자연스럽게 지승 주얼리 제작으로 이어졌고, 주로 전통공예품으로 제작되어온 지승공예 기법을 장신구 영역으로 확장하여 기존의 정형화된 틀을 깨고 한지와 지승공예의 새로운 표현방식을 제시하고 싶었다.

나의 지승 주얼리는 한지로 실을 만들어 계속 종이를 잇고 엮어가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완성된다. 가늘고 길게 자른 한지를 엄지와 검지로 비벼 홑줄을 만들고, 홑줄 두 대를 꼬아 겹줄을 만든다. 홑줄을 씨줄, 겹줄을 날줄 삼아 차곡차곡 교차해가며 형상을 엮는다. 구체적 모습이 갖춰지면 묽은 찹쌀풀을 2~3회 발라 코팅하여 마감한다. 주재료부터 마감재까지 자연에서 온 재료로 잘라내지 않고 끊임없이 잇고, 엮어가는 반복적인 행위는 곧바로 나를 평온하고 자연스러운 상태로 들어가게 한다. 마치 자연과 하나가 된 것처럼... 지승작업은 내 안의 자연을 일깨워주는 도구이자 명상의 시간이다. 내 속에서 끓어오르는 그 무언가를 끊임없이 구체물로 만들어보는 것, 내 손끝에서 저절로 피어나는 나의 것을 보고 싶은 열망이 늘 작업으로 끌어당기고, 오랜 작업을 거쳐 마침내 드러나는 구체물을 통해 내 안의 나를 마주하듯 반갑고도 흥미로운 감정을 느낀다. 곧, 작업은 나를 만나는 행위다. 그리고 한지는 내 안의 나를 보다 풍성하게 표현하기 위한 도구이자 도전이며 즐거운 탐험의 대상이다. 앞으로도 지승 주얼리에 대하여 더 다양한 실험을 해보고 싶고, 전통 기법을 계승하는데 그치지 않고 작가로서 나만의 기술과 목소리를 완성해가고 싶다.